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QUICK
MENU

scroll top  
Close
Search
 
  • home
  • 학사과정
  • 교육과정

학사과정

학사과정 -

교육과정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ART3055 퍼포먼스와융복합미술 3 6 전공 학사 3 미술학과 Yes
미술의 제작과 결과에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퍼포먼스를 독립적인 주제로 삼아 학습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미술 뿐만 아니라 영상, 연기, 무용에 이르는 예술의 다양한 분과와 협업함으로써 융복합 예술로서의 퍼포먼스의 의미를 직접 인식하고 경헙한다.
DES4001 융합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디자인학과 Yes
디자인, 예술, IT, 경영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 미래의 신기술 및 서비스 등 창의적 디자인 상품의 개발을 연구하고 결과물의 프로토타잎까지를 진행하며 우수 아이디어는 지속적으로 그 활용을 지원한다. 현 학문 단위별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혁신적 가치를 창조하고 창의력 및 PBL(Problem Based Learning) 중심의 문제해결 능력, Team Project 수행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SKD2043 문화예술교육개론 2 4 전공 학사 1-2 Yes
본 교과목은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의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정책적, 사회적, 교육적 배경을 통하여 예술을 통한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신의 예술전문성을 확장하여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정체성과 책무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문화예술교육 철학을 형성하고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전문성과 진로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갈 수 있는 기초역량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문화, 예술, 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고 직무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SKD2044 무용교수학습방법 2 4 전공 학사 1-2 Yes
본 수업은 춤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깊은 이해를 도모하면서 상황에 대처하는 새로운 통찰력을 육성한다. 전문무용수로서 신체구조와 기능을 명확히 알고 표현을 확장시켜서 질적인 춤을 출 수 있도록 한다. 지도자로서 최적의 지도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새롭고 창의적인 교육철학을 학습자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SKD2045 무용즉흥 2 4 전공 학사 1-2 Yes
즉흥은 자유로운 신체표현이다. 이론과 실기가 병합하여 이루어지는 즉흥연구는 학생들의 신체적 실험과 미적 연구를 통하여 창작성과 자발성을 확장 시켜준다. 또한 즉흥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가능성과 그들 개개인의 잠재적인 창작력과 융통성의 확장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즉흥 훈련을 토대로 실기 뿐 아니라 현대무용의 역사, 문화, 안무론의 부분까지도 이해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SKD2047 고전음악의이해 2 4 전공 학사 1-2 Yes
이 수업은 dvd나 mp3 같은 실용적이고 classical한 방법을 사용하여, baroraue 댄스 suites 부터 컨템포러리 댄스 음악까지 다양한 종류의 댄스 음악을 소개합니다.
SKD2048 컨템포러리댄스역사연구 2 4 전공 학사 1-2 Yes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전통에 반기를 들고 출현한 현대무용의 역사를 각 시대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무용예술의 역사를 배경, 주요 작품 스타일과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SKD2049 컨템포러리음악의이해 2 4 전공 학사 1-2 Yes
지속적으로 새로운 형태와 방향들이 제시되는 20세기 이후의 현대음악 (클래식 음악에 근거한) 은 고전적인 기법들에서 벗어나 현대 문명의 지적 발전을 반영하여 매우 복잡하다. 본 수업은 이러한 작품들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고, 음악의 기본 구성적 배경 (리듬, 화성, 산법)을 이해하도록 하여 창작자의 창조적 작품에 유기적으로 활용되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대중적인 색채가 짙은 음악들도 다뤄 폭넓은 음악적 이해도를 생성한다. 연구되어지는 음악들은 다국적으로 선정되어 역사적 흐름에 준거하여 진행된다.
SKD2051 한국무용역사연구 2 4 전공 학사 1-2 Yes
우리나라 무용의 주류를 한반도의 역사와 연관시켜 그 생성 및 발전과정, 문화적 특색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시시대, 삼한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무용의 생성 및 변천과정과 현대의 신무용이 생성되어져야 했던 역사적 상황과 그 시대의 무용가 등을 연구함으로서 우리나라 무용발전의 전반적 흐름을 다룬다.
SKD2052 발레역사연구 2 4 전공 학사 1-2 Yes
발레 역사를 춤의 기원부터 최근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무용예술의 역사를 개괄하고자 한다. 르네상스 유럽에서의 발레의 기원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레 역사를 배경, 주요 작품 스타일과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SKD2053 발레레퍼토리1 2 4 전공 학사 1 Yes
유럽의 발레 기법인 Cecchetti Method와 러시아적 발레 기법인 Vaganova Method를 중심으로 발레의 Technique과 예술적 표현력을 중점적으로 지도한다.
SKD2054 발레부전공1A 2 4 전공 학사 1 Yes
유럽의 발레 기법인 Cecchetti Method와 러시아적 발레 기법인 Vaganova Method를 중심으로 발레의 Technique과 예술적 표현력을 중점적으로 지도한다.
SKD2055 발레테크닉2A 2 4 전공 학사 2 Yes
근육 감각에 있어서의 인지능력을 개발하고 증진시키는 것으로 하나의 지식의 방법으로서, 운동 감각을 결합하도록 하기 이하여, 시각ㆍ감각ㆍ지각의 연속적인 학문과정을 유용하게 수업이다.
SKD2056 발레레퍼토리2 2 4 전공 학사 2 Yes
발레 레파토리는 다양한 Classic Ballet 작품을 학생들에게 습득케 함으로써, 그 시대의 작품과 배경, 그리고 역사를 이해시키고자 함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SKD2058 한국무용부전공1A 2 4 전공 학사 1 Yes
한국무용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본동작을 익힘으로써 우리 무용의 전통적 춤사위를 정립시키고 춤사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굿거리 기본동작 제1동작에서 제5동작까지를 익힌다. 자진모리 기본동작 제1동작에서 제3동작까지를 익힌다. 자진모리 제동작을 익힌다.
SKD2060 발레테크닉1 2 4 전공 학사 1 Yes
에너지 측면에서 발레 스타일과 기술을 이해한다는 것은 적절한 근원과 적절한 방법, 그리고 적절한 분량의 정확한 움직임의 방향과 시간적 조절에 사용한다.
SKD2061 발레부전공1B 2 4 전공 학사 1 Yes
에너지 측면에서 발레 스타일과 기술을 이해한다는 것은 적절한 근원과 적절한 방법, 그리고 적절한 분량의 정확한 움직임의 방향과 시간적 조절에 사용한다.
SKD2062 발레테크닉2B 2 4 전공 학사 2 Yes
움직임을 통해 음악을 노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듬과 멜로디, 그리고 음조를 함께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는 음악성을 개발한다.
SKD2063 발레바리에이션2 2 4 전공 학사 2 Yes
사조별 작가별로 선정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 발레 명작들 중에서 주 테마의 Variation, Divertissement, Pas de Deux 등을 익힘으로써 무용의 형식미를 탐구하고 표현력을 높힌다.
SKD2066 한국무용부전공1B 2 4 전공 학사 1 Yes
한국무용의 기초적인 동작을 습득시킴으로서 전통무용의 춤사위와 창작무용의 춤사위를 익히는데 기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발동작 제1동작에서 7동작까지를 익힌다. 뛰기동작 제1동작에서 5동작까지를 익힌다. 연풍대 제1동작에서 5동작까지를 익힌다. 돌기동작 제1동작에서 3동작까지를 익힌다.
SKD2070 컨템포러리댄스부전공1A 2 4 전공 학사 1 Yes
호세이몽 테크닉을 기본으로 하는 현대무용의 초기 단계,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 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SKD2071 컨템포러리댄스테크닉2A 2 4 전공 학사 2 Yes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 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SKD2073 컨템포러리댄스테크닉1 2 4 전공 학사 1 Yes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SKD2074 컨템포러리댄스부전공1B 2 4 전공 학사 1 Yes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SKD2075 컨템포러리댄스테크닉2B 2 4 전공 학사 2 Yes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 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SKD2077 한국무용기본실기2A 2 4 전공 학사 2 Yes
한국무용의 기본동작(굿거리 기본동작, 자진모리 기본동작)의 기초적인 기법을 더욱 발전시키는 단계로 한국무용의 종류 가운데 전통무용, 민속무용, 의식무용 등의 대표적인 춤사위를 익힘으로써, 한국무용 동작의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춤사위의 다양함을 접하게 한다.
SKD2078 한국전통무용연구1 2 4 전공 학사 1 Yes
한국무용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본동작을 익힘으로써 우리 무용의 전통적 춤사위를 정립시키고 춤사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굿거리 기본동작 제1동작에서 제5동작까지를 익힌다. 자진모리 기본동작 제1동작에서 제3동작까지를 익힌다. 자진모리 제동작을 익힌다.
SKD2079 한국전통무용연구2 2 4 전공 학사 2 Yes
한국 무용의 근원이 되는 전통무용을 익힘으로써 무리 무용의 근본적 춤사위와 유형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SKD2080 컨템포러리댄스퍼포먼스랩1 2 4 전공 학사 1 Yes
호세이몽 테크닉을 기본으로 하는 현대무용의 초기 단계, 테크닉 훈련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창작의 과정에서 현대무용 실기는 표현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며, 기본, 테크닉의 연마가 발전, 확대되어 무용 어휘의 풍부성으로 인하여 이념을 표현하는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SKD2081 컨템포러리댄스퍼포먼스랩2 2 4 전공 학사 2 Yes
많은 안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성립된 창작 이론들을 연구함과 동시에, 이를 실기에 연결시켜 무용 동작의 기초를 통하여 학생들의 잠재되어 있는 예술성을 높여 주는 것이 목적이다. 초기의 현대무용에서부터 오늘날의 현대무용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작품들 중에서 선택하여 습득케 함으로써, 테크닉을 연마하고 실제 공연하도록 하여, 무대 경험을 배양한다.